loading
  •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개발·인정 시스템 - PDMS

    2025. 2. 4.

    by. 접속

   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개발·인정 시스템 - PDMS

    목차

    • 1. 일학습병행제란?
    • 2. PDMS란 무엇인가?
    • 3. 훈련과정 개발 절차
    • 4. 훈련과정 인정 기준
    • 5. PDMS 활용 방법
    • 6.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의 기대 효과

    1. 일학습병행제란?

   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개발·인정 시스템 - PDMS

    일학습병행제는 기업이 근로자를 채용한 후 체계적인 현장 훈련(OJT)과 이론 교육(Off-JT)을 병행하여 숙련 기술을 익히게 하는 제도입니다. 이 제도는 독일, 스위스 등 유럽의 선진국에서 활용되는 도제식 교육을 기반으로 국내 실정에 맞게 도입되었습니다.

    일학습병행제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직무 능력을 학습자가 실제 업무를 수행하면서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, 이를 통해 숙련도를 높이고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합니다.

   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개발·인정 시스템 - PDMS

     

    PDMS 일학습병행과정 개발·인정 시스템

   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웃는 훈련과정 개발센터 일학습병행 포털

    pdms.ncs.go.kr

    2. PDMS란 무엇인가?

    PDMS(Program Development & Management System)는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인정받기 위한 온라인 시스템입니다. PDMS는 기업과 훈련기관이 훈련과정을 설계하고 신청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

    이 시스템을 통해 훈련과정의 표준화를 지원하며, 국가직무능력표준(NCS) 기반의 훈련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.

    3. 훈련과정 개발 절차

    PDMS를 활용하여 훈련과정을 개발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1. 훈련과정 기획: 기업이 필요한 직무 능력을 분석하고 훈련 목표를 설정합니다.
    2. 학습모듈 구성: 국가직무능력표준(NCS) 기반으로 교육 내용을 설계합니다.
    3. 교수학습 방법 선정: 현장 훈련과 이론 교육을 적절히 조합하여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결정합니다.
    4. 훈련과정 등록: PDMS에 훈련과정을 입력하고 신청합니다.
    5. 훈련과정 승인 및 운영: 심사를 거쳐 훈련과정이 승인되면, 실제 현장에서 운영됩니다.

    4. 훈련과정 인정 기준

   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이 공식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

    • 기업 적합성: 해당 기업이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었는가?
    • 훈련과정의 체계성: 훈련 목표, 학습 모듈, 평가 방법 등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가?
    • NCS 기반 여부: 훈련 내용이 국가직무능력표준(NCS)을 기반으로 구성되었는가?
    • 훈련 강사의 자격: 현장 훈련을 담당하는 강사가 적절한 자격을 갖추고 있는가?

    5. PDMS 활용 방법

    PDMS 시스템은 기업과 훈련기관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

    • 회원가입 및 로그인: PDMS 홈페이지에서 계정을 생성하고 로그인합니다.
    • 훈련과정 등록: 신규 훈련과정을 개발하여 시스템에 입력합니다.
    • 심사 신청: 등록한 훈련과정을 검토받기 위해 심사 신청을 진행합니다.
    • 훈련 운영 및 결과 입력: 승인된 훈련과정을 운영하고 학습자의 진행 상황을 기록합니다.

    6.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의 기대 효과

    PDMS를 활용한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운영은 기업과 학습자 모두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.

    • 기업의 생산성 향상: 필요한 직무 능력을 가진 인재를 양성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    • 학습자의 직무 능력 강화: 실무 중심의 학습을 통해 취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.
    • 정부 지원 혜택: 훈련을 운영하는 기업은 다양한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결과적으로, 일학습병행제와 PDMS 시스템은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제공하는 중요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.